[창작연구발표5] 부러진 노를 저어 저어

홈페이지 준비중@300x 100

1983. 12. 22. ~ 12. 24. 애오개소극장 배우(출연진) 엄경환, 김혜숙, 여균동, 박영산, 박만호, 강태일, 문병옥, 윤진홍, 이재익, 천호영, 이종란, 김애실, 이현옥, 노동선, 오인두 특별히 도움 주신분들 박인배, 유인택

[창작연구발표4] 허연 개구리

홈페이지 준비중@300x 100

1983. 05. 19. ~ 05. 22. 한두레소극장 배우(출연진) 강태일, 노동선, 김애영, 박혜숙, 곽상근, 정재진, 엄경환, 김응수, 박만호

[특별기획공연1] ᄌᆞᆷ녀풀이

홈페이지 준비중@300x 100

1983. 02. 25. ~ 03. 01 국립극장 실험무대 사물 강석헌(꽹과리), 부산옥(징), 나옥실(장고), 부숙희(북) 배우(출연진) 이희경, 김옥임, 문정순, 강동임, 홍죽희, 정공철, 김인숙, 김수범, 한재준, 고대언, 김수열, 강동훈

[연우무대11] 멈춰선 저 상여는 상주도 없다더냐

멈춰선 저 상여는 수정

1894년에 일어난 갑오동학 농민전쟁이 그 주된 이야기를 이루고 있으며 개항때부터 갑오경장때 까지의 관의 움직임과 외세와의 역학관계가 군데군데 삽입되어 있으며 20여개의 장면으로 구성된 일종의 서사극 형식의 극이다. 1982. 09. 09. ~ 1982. 09. 14. 문예회관 대극장 배우(출연진) _ 임진택, 배태익, 이태환, 정희섭, 최아랑, 곽상근, 김명곤, 엄경환, 김경란, 이은재, 임명구, 박용수, 김혜숙, 오인두, 한윤경, 나영민

[연우무대10] 판놀이 아리랑고개

판놀이 아리랑 수정

1930년대 일제하 기성작가들의 작품들을 판놀이로 재구성하여 농촌마을에서 일이 끝난후의 놀이로써 농촌연극의 가능성을 공연을 통해서 실험을 해보고자 한다.. 농악놀이, 판굿, 민요. 민속놀이, 신파, 탈춤 등을 오늘날 우리시대의 ‘판’으로 구성하여 ‘총체적 연극(토탈씨어터)’을 구체화시켰다. 1982. 05. 20. ~ 1982. 05. 25. 국립극장 실험무대 배우(출연진) _ 정호선, 김명곤, 황사발, 정이담, 김경란, 김애영, 정수범, 여포규, 강태일, 곽상근, 김군희, 김혜숙, 김영연, […]

[연우무대9] 민달팽이

민달팽이 수정

인생유전을 통해서 예로부터 오늘에 이르는 우리네 서민들의 한을 민요와 춤을 곁들여 극적으로 형상화하는 일이 가능한가를 실험해보는 작품. 1982. 03. 30. ~ 1982. 04. 12. 문예회관 소극장 배우(출연진) 김명곤, 김애경, 김혜숙, 박용수

[연우무대8] 장사의 꿈

장사의 꿈2 수정

동명 소설 ‘장사의 꿈’을 이야기의 기본 줄거리로 하고 각종 재담과 노래를 삽입, 재구성한 작품. 사회의식이 강한 2인극으로 윤리의 타락상을 폭로 풍자하고 있다. 힘과 체격에 있어서는 역사와 전통이 뚜렷한 가문에서 태어나 씨름판에 나가 황소를 탔던 소질과 능력을 계발하여 레슬링 선수가 되고자 상경하였으나, 그 꿈은 깨어지고 결국 목욕탕 때밀이, 도색영화배우, 떠돌이 약장사에서 남자로 몸을 파는 남창으로 전락하게 […]

[연우무대7] 어둠의 자식들

어둠의 자식들 수정

동명소설 ‘어둠의 자식들’을 극화한 작품. 이동철이라는 실제 인물과 그 주변의 이야기들을 엮은 이야기로 도시빈민들의 뒷골목의 상황을 이야기한다. 사실주의 기법으로 사회 부조리, 밑바닥 삶을 리얼하게 표출한다. 1981. 04. 04. ~ 1981. 04. 13. 문예회관 소극장 배우(출연진) 이문수, 문성응, 엄경환, 김애영, 김보현, 김경원, 박인배, 전진희, 박광수

[연우무대6] 왕자

왕자 수정

흔히 ‘낙랑공주와 호동왕자’로 알려진 ‘호동왕자’의 이야기를 하는 연극 ‘왕자’는 삼국사기의 대무신왕편을 소재로 사랑의 이야기라기보다 역사적인 사실속에서 호동왕자의 ‘자살’의미를 추적한다.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보다 죽음을 택한 호동왕자의 행위를 통해 대무신왕의 분별없는 정벌과 난폭함 그리고 한때 이에 동조했던 호동 자신의 행동 등은 운명적으로 인간성 회복을 위해 피의 희생을 치루어야 한다는 사실을 이야기 한다. 1980. 09. 25. ~ […]